Data Engineer Log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Data Engineer Log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36)
    • Career (5)
    • Data Engineer (5)
    • AWS (17)
      • Storage (8)
      • Database (3)
      • Processing (4)
    • Database (1)
      • MongoDB (1)
    • Book & Think (5)
    • 개발 기록 (1)
      • 로컬 개발 환경 (1)
    • Infra (2)
      • Kubernetes (1)
      • Terraform (1)

검색 레이어

Data Engineer Log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Infra

  • Terraform 이란?? Quick Start로 빠르게 공부해보기

    2024.10.06 by 데이터 개발자

  • Kubernetes Service와 Ingress 개념

    2024.10.06 by 데이터 개발자

Terraform 이란?? Quick Start로 빠르게 공부해보기

오늘은 Terraform에 대해서 공부해봤는데요.기존에 업무 환경에서는 한번도 사용해본적이 없었던 기술이라 빠르게 학습하기 위해서 알아봤습니다.  Terraform?  Terrafrom은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이다. (IaC = Infrastructure as code)선언적으로 클라우드에 대한 인프라를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다.low-level 컴포넌트들인 computer instance, storage, network 부터 high-level 컴포넌트들인 DNS, SaaS 등 다양하게 가능하다. 예를들어 AWS에 배포되는 다양한 인프라와 리소스들을 쉽게 관리하고 자동화 할 수 있다.  Terraform 동작Terraform은 3가지 workflow로 동작하게 된다.Write : 리소스를..

Infra/Terraform 2024. 10. 6. 18:08

Kubernetes Service와 Ingress 개념

오늘은 k8s (kubernetes) 환경에서 Service와 Ingress에 대해서 공부해봤습니다. 2개의 리소스는 모두 클러스내 내의 애플리케이션 간 통신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하는 역할입니다.  Kubernetes Servicek8s의 Pod의 집합에 대한 네트워크 접근 방식이다.Pod의 경우 동적으로 생성되고 제거될 수 있기때문에 Pod의 IP는 수시로 변할 수 있다.그렇기때문에 Service를 이용해 Pod 그룹들을 추상해해서 노출 할 수 있다. Service Typeservice의 Type은 크게 4가지가 있다.ClusterIP : 클러스터 내부 IP에서 서비스를 노출하며 클러스터 내에서만 서비스 접근이 가능하다 (default)NodePort : 클러스터 외부에서 노드의 IP와 특정 ..

Infra/Kubernetes 2024. 10. 6. 15:0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Data Engineer Log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