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맥북, 아이맥 docker / kubernetes 환경 구축하기

개발 기록/로컬 개발 환경

by 데이터 개발자 2024. 9. 3. 19:43

본문

오늘은 맥북/아이맥에 docker, kubernetes (k8s)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기록해두려고한다.

Docker 설치

우선 docker 를 설치해본다. 

 

아래 Docker 공식 홈페이지에서 Docker Engine을 설치 할 수 있다.

 

https://docs.docker.com/engine/install/

 

Install Docker Engine

Learn how to choose the best method for you to install Docker Engine. This client-server application is available on Linux, Mac, Windows, and as a static binary.

docs.docker.com

 

또는 brew 를 이용해 설치할 수 있다.

brew install docker

 

 

Docker desktop 을 설치해 로컬 환경에서 도커 셋팅이 가능하다.

아래는 맥북에 설치된 Docker destkop 위젯이다.

 

 

이제 docker 를 설치했으니 docker 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docker를 설치했으니 k8s 환경도 바로 구축해보자.

 

 

Kubernetes 구축하기

 

Kubernetes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살펴봤다.

  • docker desktop 에서 바로 구축하기
  • minikube 를 사용해 구축하기

 

먼저 docker desktop 에서 바로 k8s 구축이 가능하다.

docker desktop 페이지에 Kubernetes 텝이 있으며 옵션을 체크후 Apply 하면 바로 구축이 된다.

 

 

또 다른 방법은 minikube를 통해 구축하는 방법이다.

brew를 통해 minikube를 설치하고 minikube를 start 해주면 바로 구축이 가능하다.

 

brew install minikube
minikube start

 

 

그렇다면 docker destkop 과 minikube를 통해 k8s 환경을 구축했을때 차이점은 무엇일까??

 

Docker Desktop

  • 빠르고 간단한 설정으로 설치
  • 설치 과정이 매우 간단해 초보자에게 유리
  • 맥 OS 네이티브로 실행되어 성능이 좋고 리소스 사용 효율이 높다
  • k8s의 고급 기능이나 다양한 커스텀 설정에 제한적이다.

Minikube

  • Docker, VirtualBox, HyperKit 등 다양한 하이퍼바이저를 지원하고 이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 여러 하이퍼바이저에 따라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 k8s의 다양한 구성, 복잡한 커스텀 설정도 가능하다. (Docker Desktop 대비)

 

더 많은 차이점들이 있겠지만, 나에게는 Minikube 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더 다양한 k8s 환경에서 이것저것 살펴보고 싶은 니즈가 있기때문이다.

 

오늘은 간단하지만 로컬 환경에서 Docker, k8s 환경을 구축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봤다.